천근성 작가의 설치
페이지 정보

본문
천근성 작가의 설치
천근성 작가의 설치 작품 ‘수원역시장커피’.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미술관 전시장에 사람들이 커피를 마신 흔적이 담긴 카페와 3층짜리 상가, 그리고 ‘짝퉁 작품’이 등장했다. 경기 수원시립미술관이 개관 10주년을 맞아 개최한 특별전 ‘모두에게: 초콜릿, 레모네이드 그리고 파티’이다. 15일 개막한 전시는 귀족의 전유물인 초콜릿이 시간이 흘러 모든 이의 디저트가 된 이야기, 서구에서 시련을 극복하는 희망을 상징하는 레모네이드에서 영감을 얻었다. 국내외 작가 11팀의 작품 45점을 소개한다. 전시장 입구에 들어서면 남다현 작가의 설치 작품 ‘부정 승차의 유혹’이 먼저 관객을 맞는다. 작품은 멀리서 보면 역에 온 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수원역과 비슷하다. 가까이 가면 종이와 스티로폼, 은박지로 만든 조악한 모조품임을 알 수 있다. 작가가 만든 모조 승차권도 관객에게 나눠준다. 전시는 누구나 매일 드나드는 지하철역처럼 편하고 유쾌하게 문을 연다.1전시실은 미술관의 권위나 제도를 되돌아본다. 남 작가는 테무, 다이소, 이케아, 쿠팡 등에서 구한 공산품으로 명작을 재현한 ‘MoMA from TEMU’ 연작을 선보인다. 김가람 작가는 도슨트가 관객에게 작품을 일방적으로 설명하던 방식을 뒤집어, 관객이 도슨트의 질문에 답하고 설명하는 퍼포먼스 ‘분더카머’를 소개한다. 이탈리아와 영국 출신 예술가 듀오인 클레어 퐁텐의 발광다이오드(LED) 작품 ‘아름다움은 레디메이드’(2020∼2024년)도 미술관이 아름다움을 어떻게 규정하는지 질문을 던진다. 크리스틴 선 킴, 토마스 마더의 영상 및 설치 작품 ‘Find Face’. 수원시립미술관 제공 2전시실은 소통의 다양한 방식을 탐구한다. 크리스틴 선 킴과 토마스 마더는 미국 수화(ASL)를 활용한 영상과 설치 작품으로 소통의 틀을 확장한다. 이학승의 ‘3층 상가’는 시각장애인협회가 있던 건물 1층을 임차해 썼던 작가의 경험을 담았다. 시각장애인들이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서로 부딪치지 않기 위해 내던 소리를 작품에 담아 관객이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3전시실은 예술에 친숙하지 않은 사인천 송도국제도시 도심 공원에서 온몸에 털이 빠진 안쓰러운 모습의 동물이 잇따라 발견돼 주민들이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24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수변 산책로에서 ‘개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너구리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송도 주민들에 따르면 최근 송도 수변공원 등지에서는 온몸에 털이 빠진 동물을 봤다는 목격담이 이어지고 있다. 이모(41)씨는 “저녁에 공원에서 산책하다가 너구리와 염소를 섞어 놓은 듯한 동물을 봤다”며 “주변 지인 중에도 이런 동물을 봤다는 사람이 여럿 있는데 정체를 알 수 없지만 불쌍해 보였다”고 전했다.실제로 지난 23일과 24일 오후 송도 모 고등학교 인근 수변 산책로에서는 온몸에 털이 빠진 동물이 연합뉴스 카메라에 잇따라 포착됐다.이 동물은 머리와 꼬리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털이 빠진 채 앙상하게 마른 듯한 모습이었다.이 중 한 마리는 인기척을 느끼고도 곧장 도망가지 않고, 카메라를 응시하다가 천천히 수풀 속으로 모습을 감췄다. 지난 24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수변 산책로에서 ‘개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너구리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가 촬영한 사진과 영상을 확인한 서문홍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사는 해당 동물이 ‘개선충’에 감염된 너구리라고 설명했다. 서 연구사는 “과거 미지의 괴생물로 불린 ‘추파카브라’는 실제로는 개선충에 감염된 코요테였다”면서 “너구리도 털이 빠지면 다른 생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개선충은 외부기생충으로, 개선충증에 걸린 너구리는 식욕 부진과 체온 상승을 겪는다. 특히 개선충은 가려움증을 유발해 자신의 피부를 씹고 뜯고 긁으며 털을 뽑아내기도 한다. 피부를 계속 긁다 보면 피부가 상해 두꺼운 갑옷을 입은 것 같은 모양을 띠게 된다.더 큰 문제는 개선충이 너구리 사이에서 전파가 된다는 점이다.너구리는 공동화장실을 만들어 사용할 정도로 개체 간의 교류가 왕성해 한 마리가 감염되면 주변 다른 개체도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서 연구사는 “개선충 감염은 각 개체와 주변 서식 환경 등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천근성 작가의 설치
- 이전글지구를 지키는 자: 환경 운동가의 이야기 25.04.28
- 다음글사회의 어둠과 빛: 불평등과 희망 25.04.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