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19일 > 제안서, 팜플렛

본문 바로가기

제안서, 팜플렛

514e6b7d1187901033609439178194fe_1683085706_4357.jpg 

사진은 19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5-04-10 05:45

본문

사진은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모습. 2025.3.19/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윤주현 기자 =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대 전세시장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거래 규제로 전세 매물이 묶이면서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어서다.갭투자(전세 끼고 주택 매입) 제한으로 전세 매물이 시장에 나오지 않으면서 향후 공급 감소에 의한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10일 뉴스1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4일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적용 이후 강남 3구와 용산구 일대의 전세 거래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강남구는 토지거래허가 해제 후인 2월 13일부터 규제가 다시 적용된 지난달 23일 전까지 961건 신규 전세 거래가 이뤄졌다. 하지만 지난달 24일부터 이날까지 204건의 신규 전세 계약만이 체결됐다.이외에도 △서초구 (638건→140건) △송파구(1064건→207건) △용산구 (310건 →71건) 등 규제가 적용된 모든 지역에서 전세 거래가 감소했다.규제로 갭투자가 제한되면서 강남 3구 일대의 전세 공급 자체가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서울 입주 물량이 이달 들어 급감한 것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실제 4월 수도권은 입주 물량은 지난달 1만 4590가구에서 72% 줄어든 4067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서울에서는 강동구 성내동 '그란츠리버파크'(407가구) 한 곳만 집들이를 시작한다.이에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전세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4층)의 전세는 규제 적용 직후인 지난달 24일 23억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직전 전세 거래가보다 5000만 원 상승한 수치이다.인근 부동산에 따르면 현재 원베일리 전용 84㎡ 매물 전세 호가는 23억~25억 원 수준에 형성돼 향후 신고가 경신의 가능성도 열려 있다.강남구에서도 연이어 전세 신고가가 나타나고 있다. 개포동 '개포자고(故)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에게 성폭력 피해를 입은 피해자가 수사 결과를 발표해달라고 경찰에 촉구했다.고 장 전 의원 성폭력 피해자 이윤슬(가명) 씨는 한국성폭력상담소 등 여성 관련 단체들이 9일 서울 종로구 서울지방경찰청 민원실 앞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을 통해 "가해자의 죽음으로 사건이 종결돼서는 안 된다"며 경찰이 현재까지의 수사기록을 토대로 자신의 피해 사실을 인정해줄 것을 호소했다.이 씨는 최란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의 대독을 통해 "(가해자로부터) 어떠한 사과도 받지 못했다. 사건이 일어난 시점부터 끝날 때까지 온전히 가해자의 손에 의해서 모든 것이 시작되고 마무리되는 것을 바라만 보고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참담할 뿐"이라며 "얼룩진 20대 시절을 위로받을 기회가 가해자의 사망으로 사라져버린 게 그저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한탄했다.그는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권력형 성폭행 피해자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 사건이 이대로 수사 종결될 경우, 다른 피해자들이 용기 낼 기회조차 사라질까 우려스럽다"며 "죽음으로 사건이 종결된다면 어느 가해자가 처벌을 달게 받겠으며 어떤 피해자가 용기 내서 말할 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이어 "지금까지 이뤄진 수사를 바탕으로 성폭력 혐의에 대한 결과가 발표돼야 한다. 그래야 자신의 죄를 감당하지 않고 가해자가 사망해 죄가 사라지는 일이 두 번 다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며 "(경찰은) 수사로 확인된 사실을 발표해 (가해자를) 사회적인 엄벌에 처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고(故)장제원 전 국회의원의 발인식이 4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백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 씨의 법률대리를 맡은 김재련 변호사(법무법인 온세상)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피해자는 지난 2022년 2월 24일 자신의 고통을 더는 참지 못해 변호사 사무실에 찾아왔다. 그럼에도 그는 고소할 결심을 하지 못했었다"며 "장 전 의원은 당시 현직 국회의원 신분이었고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으로 불리며 상당한 권력을 가지고 있는 실세였다"고 회상했다. 김 변호사는 "피해자는 내게 안희정·박원순 사건의 피해자들처럼 자신도 고소로 인해 공격을 받지 않을까 물었다. 나는 그에게 선뜻 피해자들이 잘 살고 있다고 말할 수 없었다"며 "우리 사회에서 위력에 의한 성폭력 사건 피해자들의 안전이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이 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