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이 가요 손이 가?’ 송편, 한두 개씩 집어먹다가 후회합니다 > 제안서, 팜플렛

본문 바로가기

제안서, 팜플렛

514e6b7d1187901033609439178194fe_1683085706_4357.jpg 

‘손이 가요 손이 가?’ 송편, 한두 개씩 집어먹다가 후회합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dbypnyjo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5-11-28 03:22

본문

고열량·고지방·고염분 명절 음식
만성질환자 주의 필요…과식 금물



넉넉한 명절 음식에 자꾸 손이 가지만, 고열량·고지방·고염분인 경우가 많아 과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명절 음식은 기름에 튀기거나 구워서 조리하는 탓에 평소 먹는 음식보다 열량이 2배 이상 높다.

실제로 대표적인 추석 음식인 송편은 5∼6개, 약과는 2개만 먹어도 밥 한 공기의 열량 300㎉(칼로리)와 맞먹는다.

떡산적 3개와 동태전 4개, 인절미 6조각도 밥 한 공기의 열량과 같다.

토란국 한 그릇은 150㎉, 식혜 1컵(200㎖)은 250㎉에 달한다.

이런 명절 음식의 과다 섭취는 갑작스럽게 위와 장에 염증이 발생하는 ‘급성위장염’을 유발할 수 있다.

한 전문가는 “음식을 준비하면서 냄새를 많이 맡아서 식욕이 떨어진다고들 하지만, 무의식적으로 음식을 조금씩 집어 먹다가 자신도 모르게 과식하게 되는 경우가 상당수”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조금씩 집어 먹는다고 안심하지 말고 자신이 섭취하는 추석 음식의 열량을 계산해서 먹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조언했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 고지방·고열량 명절 음식은 독이다. 급격한 혈당 상승과 함께, 남은 영양분이 지방 형태로 축적되면서 혈당 조절에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송편은 하루 1~2개로 섭취를 제한하고, 잡채는 당면 대신 채소 위주로 섭취하며, 음료는 식혜나 수정과 대신 물이나 보리차로 대신해야 한다.

사과나 배 등 과일도 하루에 3분의 1쪽 정도로 소량만 먹는 게 좋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전이나 찌개 등 고염분 음식 섭취는 제한할 것을 권한다. 특히 전은 간장에 찍어먹지 말고,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게 좋다.

신장병 환자도 곶감, 바나나, 토란국 등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은 피해야 한다.








“AI 판도 뒤집혔다” 찬사 속 ‘주가 급등’…국내 수혜주 ‘이곳’ 지목
치매 환자, 건강한 사람에 비해 ‘이것’ 부족…뇌 건강에 치명적
챗GPT의 대반전…수능 ‘9등급’ 망신 딛고 ‘1등급’ 찍은 비결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31일
“60% 할인에 품절 대란”…9월 혜택 공개되자 난리 난 ‘이곳’
[오늘의 운세] 2025년 10월 13일
포항 스틸러스, ‘광주 비하’ 징계 솜방망이 논란…팬들 ‘부글’
“건강 위해 마셨는데”…미세플라스틱 가장 많은 음료 1위, 탄산음료 아니었다






18m3hrk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