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 > 제안서, 팜플렛

본문 바로가기

제안서, 팜플렛

514e6b7d1187901033609439178194fe_1683085706_4357.jpg 

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4-26 13:01

본문

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제생활'은 CBS가 국내 최초로 '기후'와 '경제'를 접목한 경제 유튜브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의 대표 기후경제학자 서울대 환경대학원 홍종호 교수와 함께합니다. CBS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경제연구실'에 매주 월/화/수 오후 9시 업로드됩니다. 아래 녹취는 일부 내용으로, 전체 내용은 '경제연구실' 채널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유튜브 CBS 경제연구실 '기후로운 경제생활' ■ 진행 :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대담 : 최서윤 CBS 경제부 기자 ◆ 홍종호> 기후의 눈으로 경제를 읽다. 안녕하세요 CBS 기후로운 경제 생활에 오신 것 환영합니다. 저는 진행 맡은 홍종호입니다. 한 주 동안 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기후 현안 전해드리는 주간 기후 브리핑 시간입니다. 오늘도 CBS 경제부 최서윤 기자 나와 계세요. 안녕하세요. 오늘 어떤 이야기 준비해 주셨습니까? ◇ 최서윤>글로벌 해운 탄소세 승인, 한국 조선업엔 특급 기회.◆ 홍종호> 아주 큰 뉴스죠. UN 산하 국제해사기구, IMO죠. 여기에 해상 선박 온실가스 배출 저감 규제가 오랜 논의 거쳐 드디어 승인됐다는 소식이네요.◇ 최서윤> 맞습니다. 해상 운송하는 선박이 내뿜는 온실가스가 전 세계 배출량의 약 3%를 차지하기 때문에 해운 분야 규제가 꼭 필요했습니다. 몇 년 전부터 예고된 규제이긴 한데 변수가 하나 있었어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이 저하되는 거 아니냐, 힘을 잃는 거 아니냐, 기업에서도 늦춰줬으면 좋겠다 이런 얘기들을 많이 했었기 때문에 이게 될지 우려가 있었는데요. 다행히 예정대로 통과됐어요. 글로벌 배출 저감 노력은 계속된다는 걸 보여준 신호로 풀이됐어요.무엇보다 우리 조선업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더 반가운 소식입니다.◆ 홍종호> 이 해운 부문이 하늘 부문보다 탄소 배출량이 더 많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부문이죠. 자세히 한번 이야기 나눠보죠.◇ 최서윤> IMO 본부가 소재한 영국 런던에서 지난 11일에 제8복지부, 2025년 장애인정책종합계획 시행계획 마련공공기관 우선구매 목표 비율1.35%…의무비율 1.1% 보건복지부는 25일 제26차 장애인조정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해 장애인종합계획 2025년 시행계획안, 공공기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및 계획안, 장애인권리협약 권고사항 이행계획, 법령정보 전자점자 제공 계획 등 4개 안건을 확정했다. 사진은 조규홍 복지부 장관. /임영무 기자 [더팩트ㅣ조채원 기자] 정부가 장애등록을 하지 않더라도 발달재활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연령기준을 완화한다. 장애인연금 기초 급여액을 인상하고 일자리도 확대하기로 했다.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목표 비율도 높일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25일 제26차 장애인조정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해 장애인종합계획 2025년 시행계획안, 공공기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및 계획안, 장애인권리협약 권고사항 이행계획, 법령정보 전자점자 제공 계획 등 4개 안건을 확정했다.복지부는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23~2027)에 따라 복지·서비스, 건강, 교육 등 9대 분야에서 장애인 권익 증진을 위한 2025년 시행 계획을 마련했다.먼저 발달재활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연령기준은 6세에서 9세 미만으로 완화해 지원대상을 8만 6000명에서 10만40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9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장애인 개인예산제 기초 바우처를 1종(활동 지원)에서 4종(활동지원,주간활동, 방과 후 활동, 발달 재활)으로 확대한 '바우처 확대 모델'도 시범 운영한다. 오는 7월부터는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센터 2개소를 시범 운영하고 2027년 본사업 전환을 추진한다.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해서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재활의료센터를 6개소에서 10개소로 확대하고, 권역재활병원도 7개소에서 8개소로 1개소 늘린다.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는 15개소에서 16개소로 확충된다. 돌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아 전문·통합 어린이집은 1896개소에서 1980개소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지원도 82개소에서 96개소로 늘어난다.장애인연금 기초 급여액 2.3% 인상(33만4810원에서 34만2510원)과 장애인 공공일자리 2000명 확대(3만2000명에서 3만4000명)를 통해 소득보장 기반을 강화한다. 저상버스 도입 지원, 휠체어 승강·고정 설비 등이 설치된 특별 교통수단을 도입하고 운영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