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시청각 스펙 > 제안서, 팜플렛

본문 바로가기

제안서, 팜플렛

514e6b7d1187901033609439178194fe_1683085706_4357.jpg 

[런던=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시청각 스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4-27 23:35

본문

[런던=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시청각 스펙터클을 극대화한 뮤지컬.”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웨스트엔드 프로덕션 공연(사진=오디컴퍼니, ⓒJohan Persson)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웨스트엔드 프로덕션 연출가인 마크 브루니는 2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주영한국문화원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작품의 특징을 이 같이 짚었다. ‘위대한 개츠비’는 미국 작가 F. 스콧 피츠제럴드가 1925년 발표한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뮤지컬이다. 절정의 호황기를 누린 192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백만장자 제이 개츠비와 그가 사랑한 데이지 뷰캐넌의 이야기를 다룬다.지난해 4월 먼저 개막한 미국 브로드웨이 공연에 이어 웨스트엔드 공연 연출을 맡은 마크 브루니는 “이번 공연에도 함께할 수 있어 영광”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위대한 개츠비’ 스토리를 음악을 곁들어 사람들에게 들려줄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원작 소설이 올해 출간 100주년을 맞은 사실을 언급하면서 “100주년을 기념해 원작에 공연을 바치는 같은 느낌도 든다”며 미소 지었다.작품의 감상 포인트에 관해선 “작품 안에는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현실 속에 던지는 명확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며 “100년 전부터 이야기해 온 ‘아메리칸 드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만드는 계기를 제공하는 공연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연출 키워드로는 ‘화려함’을 꼽았다. 그는 “파티 장면을 최대한 멋지게 만들고 싶었고 화려하고 사치스럽게 꾸민 무대를 어려운 사람들의 그늘과 대비시키려고도 노력했다”며 “신춘수 프로듀서의 아낌없는 지원 덕분에 추구했던 무대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했다.브로드웨이 공연과의 차별점에 관해선 “전반적으로 크게 바뀐 부분은 없고 개선에 중점을 뒀다”며 “창작진들과의 논의를 통해 수정, 보완 작업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이미지가 보다 생생하게 드러나도록 했다”고 밝혔다.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웨스트엔드 프로덕션 공연 창작진과 주연 배우 제이미 무스카토. 왼쪽부터 신춘수 프로듀서, 제이슨 하울랜드, 제이미 무스카토, 마크 부르니, 도미니크 켈리(사진=오디컴퍼니) [편집자주] 매년 새로 쏟아지는 책은 6만 2865종(2023년 기준). 모든 책을 읽어볼 수 없는 당신에게 머니투데이가 먼저 읽고 추천해 드립니다. 경제와 세계 정세, 과학과 문학까지 책 속 넓은 세상을 한 발 빠르게 만나보세요. /사진 = 도레미엔터테인먼트 제공 군마(군용 말)는 기원전 4000년부터 사용됐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전쟁과 함께한 동물이다. 증기기관의 등장 이후 비용과 효율성 문제로 도태됐지만, 불과 몇십년 전까지도 활발하게 전장을 누볐다. 우리 역사의 끔찍한 비극인 한국전쟁 때에도 수많은 군마들이 동원됐다. 군마들은 물자를 수송하고 병사들의 감정 회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북한과 중공군의 침략을 막아냈다. 미국의 작가 로빈 허턴은 '레클리스'라는 군마에 주목했다. 제주마와 서러브레드의 혼혈마인 레클리스는 이름에 담긴 뜻처럼 '무모한 말' 이었다. 미국 해병대 사상 가장 치열한 전투 중 하나로 꼽히는 네바다 전초(지금의 연천군) 전투에서 포탄 1만 4000여발을 뜷고 하루 56km를 오가며 5톤의 탄약을 운반했다. 미 해병대는 레클리스의 활약 덕택에 중공군의 거센 공세를 막아내고 고지를 탈환했다.저자는 '한국전쟁 감동 실화- 레클리스'를 통해 레클리스의 인상적인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한국인 조련사 김혁문(가명)이 애지중지 키우던 경주마 레클리스는 1950년 한국전쟁이 터지자 군마가 됐고, 미 해병대에 입대해 전선에 배치됐다. 덩치에 비해 겁이 많고 훈련이 어려운 다른 말들과 다르게 레클리스는 빠르게 임무에 적응해 해병대를 지원했다.책은 레클리스의 탄생부터 활약, 미국으로 건너가게 된 계기와 20세의 나이로 사망하기까지 차례대로 서술한다. 한국전쟁에 참여했던 병사들의 증언과 당시 신문의 보도, 수많은 사진으로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영웅을 추앙하는 풍토와 군인에 대한 존경, 동물을 사랑하는 시민들 등 당시 미국인들의 문화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저자는 해병대원들에게 레클리스는 단순한 군마 그 이상이었다고 설명한다. 미국 해병대 역사를 통틀어도 레클리스 이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