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오전 1명이 숨지고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 25일 오전 1명이 숨지고
지난 25일 오전 1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친 흉기 난동 사건이 발생한 서울 강북구 미아동의 한 마트 앞에 추모객들이 국화꽃과 화분, 촛불을 놓았다. /사진=서지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지켜드리지 못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부디 그곳에서는 편히 쉬소서.' 지난 25일 흉기 난동 사건이 발생한 서울 강북구 미아동의 한 마트 앞에는 오전부터 추모 행렬이 이어졌다. 추모객들은 포스트잇에 글을 남겼고, 국화꽃 40여송이와 화분 3개, 촛불도 놓였다. 또다시 안타까운 목숨이 동기를 특정할 수 없는 범행에 희생된 현장이다. 경찰은 이상동기범죄(묻지마 범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슷한 유형의 범행이 잇따르는 만큼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을 주문했다. 28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 강북경찰서는 지난 22일 오후 6시20분께 서울 강북구 미아역 인근 마트 내부에서 일면식 없는 40대 여성 종업원과 60대 여성 행인에게 흉기를 휘둘러 이 가운데 행인을 사망케 한 30대 남성 A씨를 현행범 체포해 구속 수감했다. A씨는 범행 당시 진열대에 있던 술을 마시긴 했지만 만취 상태는 아니었고, 피해자들과 원한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마트 인근 폐쇄회로 (CC)TV에 포착된 A씨는 범행 직후 112에 직접 전화해 범행을 자백하기도 했다. 마약류 간이시약 검사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았다. 사건 발생 8일째인 현재까지 동기를 확인하지 못한 경찰은 정신질환 여부와 약물 투약 등에 대한 검사를 시도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상동기범죄인지 밝혀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범행 장면을 목격한 주민들은 극도의 불안감을 호소했다. 마트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A씨의) 얼굴, 체격, 뒷모습, 고인의 얼굴, 피가 낭자했던 바닥까지 다 생각이 난다"며 "왜 무고한 사람의 목숨을 빼앗았는지 밝히고, 엄벌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소식을 들은 시민들도 유사 범죄 재발 가능성을 우려하긴 마찬가지였다. 미아동에 10년째 거주하고 있는 주민 강모씨(79)는 "주택가 근처인 데다가 가격도 저렴해 주민들이 많이 찾던 마트에서 이런 일이 생길 줄 누가 알았겠냐"며 "세상이 팍팍해져서 그런 것인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너무 많이 일어난다"고 한탄했다. 이상동기범죄는 매년 잇따르는 추세다. 경찰청에 따르면 집계를 처음 시작한 지난 2023미·중 무역 전쟁으로 인해 중국 내 외국 제조업체들이 '이중 관세' 위기에 직면했다. 미국에서 부품이나 원자재를 수입할 때 125% 관세를 내고, 미국으로 수출할 때 다시 145% 관세를 내는 상황에 처했다고 2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애플이나 테슬라 같은 미국 대기업부터 소규모 생산 업체들까지 중국을 제조 기지로 삼는 외국 기업들이 여럿이다. 이들 기업은 미국 등에서 원자재나 부품을 수입해 중국에서 조립한 뒤 수출한다. 중국 상하이 한 항구에서 수출을 기다리는 차량들. AFP연합뉴스 경제학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14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보복에 나서면서 이들 기업이 상품 하나로 양측에 관세를 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탕 헤이와이 홍콩대학교 아시아 글로벌 연구소장은 "외국 기업들은 중국 시장에서 큰 압박을 받고 있다"며 "수입할 때는 중국에 관세를 내야 하고, 미국으로 수출할 때는 미국에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중국 해관총서 자료와 FT 추산에 따르면 작년 기준 중국 내 외국인 소유 또는 부분 소유 기업은 전체 수출의 4분의 1, 수입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마이클 하트 미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미국 기업이 아니지만, 미국산 원자재에 의존하는 많은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역시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중국은 '가공 무역'이라 불리는 방식으로 재수출할 제품의 부품 및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에 일부 관세 면제를 제공한다. 스마트폰 제조업체 등 일부 대형 미국 제조사들도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일시 관세 면제를 받았다. 그러나 소규모 생산업체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중국이 미국산 원자재를 수입해 만든 제품이 일정 기간 내 미국으로 수출될 경우엔 관세를 면제해 주지만, 미국 외 국가로 수출될 경우엔 관세 면제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주방용품 생산 업체 벨롱 엔터프라이즈의 제이콥 로스먼 최고경영자(CEO)는 지적했다
지난 25일 오전 1명이 숨지고
- 이전글문명의 충돌과 조화: 역사의 교훈 25.04.28
- 다음글평화로운 자연: 산과 숲의 풍경 25.04.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