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DB
동아 DB ● 사건 현장을 재현한 과학수사 연습실 과학수사는 과학적 지식과 특수 장비로 사건 현장에서 증거물을 수집하고 분석해서 범인을 찾아내는 수사 기법입니다. 현장에 있는 지문, 신발 자국, 핏자국 등 모든 것이 증거가 돼요. 과학수사관은 사건에 관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증거를 샅샅이 살펴야 합니다. 2월 25일 부산경찰청 과학수사과는 현장에서 증거를 더 잘 찾을 수 있도록 우리나라 최초로 '모의 범죄 실습실'을 열었습니다. 모의 범죄 실습실은 사건 현장을 그대로 재현한 장소로 과학수사관이 현장을 관찰하거나 범죄 증거를 찾는 연습을 하는 곳입니다. 부산경찰청 과학수사관리계 양준혁 경사는 "평소에 과학수사 과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면 실제 사건이 일어났을 때 증거를 빠뜨리지 않고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왼쪽. 오른쪽 위, 오른쪽 아래)과학수사 도구를 가지고 현장으로 가는 과학수사관, 모의 범죄 실습실에서 나온 증거물과 그 옆에 놓인 증거물 번호 판, 사건 현장으로 꾸며진 모의 범죄 실습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지난 3월 7일 과학수사 기법을 배우기 위해 모의 범죄 실습실로 향했습니다. 모의 범죄 실습실로 들어가는 현관문에는 사람들이 들어오지 않도록 '경찰통제선'이라고 쓰인 테이프가 붙어 있었어요. 취재진과 과학수사관은 현장에 땀, 지문 등 이 묻지 않도록 보호복과 마스크, 장갑, 덧신을 착용하고 통제선 안쪽에 있는 집으로 들어갔어요모의 범죄 실습실에 들어서자 바닥의 증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조심스럽게 벽에 붙어서 이동했습니다. 그런 뒤 사건이 일어난 구역 안에 어떤 증거물이 있는지 둘러봤어요. 거실에는 사람 크기의 인형과 물컵, 신발 자국, 인공 핏자국이 있었습니다. 취재진은 이중 어떤 증거물을 가져올지 계획을 짜고 증거물들에 번호를 매겼습니다. 계획을 다 짠 뒤 투명 플라스틱으로 된 통행 판을 바닥에 깔았어요. 통행 판은 과학수사관이 걸어 다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합니다.바닥에 있을 증거를 지우지 않기 위한 것으로 피해자나 증거물 근처에 많이 놓지요. 그리고 각각의 증거물 옆에 노란▲ 인질 석방 현장을 통제 중인 하마스와 팔레스타인이슬라믹지하드 소속 무장대원들 이스라엘 공군뿐 아니라 첩보부대까지 군 내부 다양한 집단에서 내각의 전쟁 방침에 반발해 인질 석방을 위한 협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 8200부대 현역·퇴역 군인 약 250명은 이스라엘 여러 매체에 게재한 성명에서 "전쟁 수행 방식의 즉각적인 변화를 감수하더라도 인질의 신속하게 귀환시켜야 한다는 공군 장병의 요구에 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전쟁을 계속하는 것은 인질과 군인, 그리고 무고한 민간인의 죽음으로 이어진다"며 "인질을 안전하게 데려올 수 있는 것은 오직 합의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정치권이 전쟁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에는 침묵한 채 전쟁을 밀어붙이는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하루가 다르게 인질들의 목숨은 더 위험해지고 있고 머뭇거리는 것은 치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8200부대는 암호 해독과 첩보신호 수집 등 시긴트(SIGINT·신호정보) 분야와 사이버 관련 비밀작전을 담당합니다. 지난해 9월 레바논의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에 큰 타격을 준 무선호출기·무전기 동시다발 폭발 사건에 관여했던 부대로 알려졌습니다. 전날 이스라엘 전현직 공군 900여명은 "지금 전쟁은 안보적 이익이 아닌 정치적이고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벌어지고 있다"며 전쟁 종식을 촉구하는 행동에 나설 것을 시민들에게 촉구하며 포문을 열었습니다. 이어 전직 해군 장교들이 "하마스 터널에 아직 인질 59명이 억류 중인데 국가는 이들의 석방에서 점점 더 멀어졌다"는 입장문을 냈고, 군의관 수십명도 가자지구 교전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에 동참했다고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이 보도했습니다.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런 거짓 선전들은 영웅적 군인의 이름으로 쓰인 것이 아니라, 외국 자금을 지원받는 시민단체 등 소수가 우파 정부를 전복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 "어떤 더러운 명분을 갖다 붙이더라도 항명은 항명일 뿐"이라
동아 DB